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오픈 마켓 판매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 완벽 비교 정리(+서비스 이용료)

온라인 판매 경험치 쌓기

by GFL 2023. 7. 26. 23:34

본문

온라인 판매자를 위한 전용 툴
GFL's Tools

0123456
[GFL's 3 Tools 판매가 계산기 / 매입 매출 장부 / 매입 매출 통계]

 

온라인 판매 하고 계신가요 장부 정리 하셔야죠 | 69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0점의 자료·템

0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0점인 GFL의 자료·템플릿, 문서 자료 서비스를 0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자료·템플릿, 문서 자료 제공 등 69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서비스

kmong.com


 
오픈 마켓에서 활동하기 위해 빠질 수 없는 요소가 하나 있죠. 바로 수수료인데요.

온라인 판매 플랫폼마다 수수료 구조와 비율이 달라서 초보 판매자 분들에게 어려운 과제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모르고 지나칠 순 없겠죠?

지금부터 대형 오픈 마켓을 위주로 9개 플랫폼의 수수료를 비교하고 알아볼 텐데, 기존에 운영 중이신 분들도 바뀐 건 없는지 꼭 확인해 보시고 판매가 잘 정하셔서 건강한 매출 일으키시킬 바랍니다.

수수료?


그래서 수수료는 뭘까요? 가볍게 알아볼까요? 온라인 판매자에게 수수료는 거래나 판매를 중개해 준 대가로 오픈 마켓에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고객과 판매자의 상품이 중간에서 만날 수 있게 도와준 비용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마켓마다 또, 마켓 안에서도 카테고리마다 수수료가 전부 다르다보니 GFL's Tool을 제작할 때 마진과 세금 계산에 대한 고민이 정말 많았었죠.

9개 마켓의 수수료를 비교 분석하면서 알게된 확실한 정보들로 구성했으니 천천히 읽어보시면서 수수료 완전 정복 시작해봅시다.
 
 
 
 
 
 

마켓 수수료 비교 (부가세 포함)


마켓 수수료는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 가격에 따라 부과하는 수수료
2) 검색 연동 수수료 : 포털 사이트나 검색페이지의 링크를 통한 판매에 부과하는 수수료
3) 배송비 수수료 : 고객으로부터 결제된 배송비에 부과하는 수수료(PG사 수수료)
4) 서비스 이용료 : 월 매출에 따라 부과하는 수수료

중요한 건 마켓마다 수수료가 전부 다르다는 것과 하나의 마켓에서도 카테고리마다 수수료가 다르다는 겁니다.

판매가를 정할 때에도 변동이 가장 심한 요소라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외의 마켓들은 카테고리별 수수료 정책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수료율이 어떤 카테고리에서 판매했는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스마트스토어


 
스마트스토어의 수수료는 네이버페이 주문관리 수수료와 네이버쇼핑 유입수수료 2가지로 나누어 부과되며, 같은 카테고리에서 판매했더라도 사업자에 따라 달라집니다.
 
할인 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며, 결제된 금액에 2가지 수수료를 더하면 판매 수수료가 계산됩니다.
 
 

1) 네이버페이 주문관리 수수료

안심번호 / 배송추적 / 고객관리 / 마케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 받은 대가로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국세청에 신고한 매출액을 기준으로 부과합니다.

매출액 구분매출액 기준수수료율(부가세 포함)
영세~3억 원1.980% (1.80%+부가세 10%)
중소13억~5억원2.585% (2.35%+부가세 10%
중소25억~10억원2.750% (2.50%+부가세 10%)
중소310억~30억원3.025% (2.75%+부가세 10%)
일반30억원~3.630% (3.30%+부가세 10%)

 

 

2) 네이버쇼핑 유입 수수료

네이버쇼핑에 노출되고, 검색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면 부과하는 수수료입니다.
유입된 경로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유입 경로수수료율
(부가세 포함)
네이버쇼핑2%
쇼핑라이브3%
네이버펫3%
장보기3%
브랜드 직영관4%
원쁠딜5%

일반적인 경로인 네이버쇼핑을 통한 유입은 2%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3)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네이버페이 주문관리 수수료와 동일합니다.
 

 
 스마트스토어 수수료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스토어팜 수수료 면제]스마트스토어 스타트 제로 수수료 정리(조건, 신청방법)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스토어팜) 수수료는 사업자마다 다릅니다. 보통 4%~7% 정도 되죠. 100만원의 매출이라면 4~7만원 정도는 수수료로 빠진다는 겁니다. 이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을 수 있다면 어

gfl-gfl.tistory.com


 


 

 

쿠팡


 
스마트스토어와 1,2위를 다투는 쿠팡입니다. 쿠팡의 수수료율은 판매된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합니다. 포털사이트에 노출되어 유입될 경우 부과하는 검색 연동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쿠팡에 입점하시고 나서도 카테고리 수수료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아래 링크는 쿠팡의 판매 수수료 기준입니다. 수수료 기준을 확인해보면 4%~10.9%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https://cloud.mkt.coupang.com/Fee-Table

쿠팡은 거의 모든 카테고리에 대해 국내 타 오픈마켓 대비 최저 판매수수료를 적용하고 있으며, 판매자님의 수수료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수수료 부과 구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cloud.mkt.coupang.com

 
하지만, 상품을 등록할 때 보면 부가세는 별도라고 친절하게 안내해줍니다. 따라서, 쿠팡의 수수료는 4.4%~11.99%가 되겠습니다.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
 
 

3) 서비스 이용료

배송비를 제외한 월 매출이 100만원 이상이라면 월 1회 서비스 이용료가 부과됩니다. 부가세를 포함하여 55,000원입니다.
 
 
 
 


 

지마켓 & 옥션


 
이베이에서 인수하고 함께 운영중인 지마켓과 옥션입니다. 카테고리가 다양해서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마켓들이죠. 수수료율은 마찬가지로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포털사이트에 노출되어 유입될 경우 2% 수수료가 따로 부과됩니다.
 
 

1) 판매 수수료

지마켓과 옥션의 수수료율은 1%~15%로 업계 최고 수준입니다. 아래 링크는 지마켓과 옥션의 최신 수수료율 안내입니다.
 

https://www.esmplus.com/CommonPopup/GmarketUsecost

[판매가주문옵션금액 or 추가구성금액] X 카테고리별 서비스이용료선결제 배송비 X 3.3% 선결제 배송비란 : 고객이 유료배송 상품주문시 당사 플랫폼 통해 미리 배송비를 결제하는 경우의 해당금

www.esmplus.com

https://www.esmplus.com/CommonPopup/AuctionUsecost

www.esmplus.com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11번가


 
다음은 충성 고객이 정말 많은 11번가입니다. 수수료율은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마찬가지로 검색 연동 수수료는 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11번가의 수수료는 1%~20%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카테고리별 수수료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감동 No.1, 11번가 - 11번가

soffice.11st.co.kr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롯데ON


 
브랜드 상품이 많고 롯데 백화점과 함께 오프라인 혜택도 제공하고 있는 롯데ON입니다. 수수료율은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마찬가지로 검색 연동 수수료는 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롯데ON의 수수료율은 4%~13%입니다. 카테고리별 수수료는 상품을 등록하실 때 설정한 카테고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3) 서비스 이용료

월 매출액이 100만원 이상일 경우 부가세를 포함해서 59,000원의 서비스 이용료가 부과됩니다.
 

 
 
 


 

위메프


 
 
고객 맞춤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위메프입니다. 수수료율은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검색 연동 수수료 역시 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위메프도 쿠팡과 마찬가지로 최대 수수료율은 13%로 명시되어 있으나, 부가세는 별도입니다. 따라서, 최대 수수료율은 14.3%가 되겠습니다. 80% 이상의 카테고리가 14.3% 수수료율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별 수수료는 위메프 2.0 > 상품등록 > 위메프 판매 수수료 안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과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서비스 이용료

월 매출액이 100만원 이상일 경우 부가세를 포함해서 99,000원의 서비스 이용료가 부과됩니다. 매출액이 100만원 근처라면 마진을 확보하실 수 있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인터파크


23년 6월 '인터파크트리플'을 공개하며 기업 로고와 함께 많은 정책을 변경한 인터파크입니다. 수수료율은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마찬가지로 검색 연동 수수료 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1) 판매 수수료

인터파크의 수수료율은 7%~15%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카테고리별 수수료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파크 판매 수수료 안내 : 판매자 교육센터

인터파크 수수료 안내인터파크 판매수수료 부과 기준   카테고리 수수료 + 쿠폰수수료(선택가능) + 제휴채널마케팅대행수수료(선택가능)카테고리 수수료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하며 통상적

sellercenter.interpark.com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3) 서비스 이용료

23년 6월 서비스 이용료 정책을 변경하며 많은 판매자가 인터파크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전월의 거래액을 기준으로 구간별로 나누어서 부과하고 있습니다.

 
 


 

티몬


 
23년 7월 이후 변경된 서비스 이용료 정책으로 인해 입점을 고려조차 하지 않는 판매자가 많은 티몬입니다. 수수료율은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지며, 할인 전 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마찬가지로 검색 연동 수수료 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정산 기간이 약 2달로 업계 최장 기간입니다.
 
 

1) 판매 수수료

티몬의 수수료율은 8%~15%입니다.
 
 
 

2) 배송비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는 부가세를 포함해서 3.3%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3) 서비스 이용료

마찬가지로 월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며, 구간별로 나누어서 부과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9개 오픈 마켓의 수수료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스마트스토어의 수수료가 가장 합리적이긴 하지만, 그만큼 경쟁률도 치열하죠.
 
현재 스마트스토어에만 입점하고 계시다면, 다른 오픈 마켓 입점도 고려해보는 건 어떠신가요?
 
입점을 결정하셨다면 상품을 등록하시기 전에 수수료율을 확인하시고, 적절한 마진을 남길 수 있는 판매가를 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진 계산, 세금 계산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거나 장부 정리를 시작하셔야 한다면 맨 위의 GFL's Tools 링크를 꼭 확인해주세요.
 

관련글 더보기